로그인하기
창닫기
 
아이디
비밀번호
무료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회원가입하기
창닫기
 

회원가입 약관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회원가입여부확인
이름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ex) 19750101
이메일주소
 
회원가입완료
창닫기
 
회원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로그인 해 주시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입완료
회원님의 비밀번호는 암호화 코드로 저장되므로 안심하셔도 좋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분실시에는 회원가입시 입력하신 생년월일, 이메일주소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 회원탈퇴는 언제든지 가능하며 탈퇴 후에는 고객님의 모든 정보는 삭제 처리됩니다.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창닫기
 

아이디찾기

 

이름
이메일주소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ex) 19750101

비밀번호 찾기

 

아이디
이름
이메일주소
무료회원가입로그인페이지로이동
조문요령
한결상조  2013-01-05 / 1111



 

영정 앞에 절할 때는 남자는 오른손, 여자는 왼손을 위로

 

경사와 달리 애사 때는 자리가 자리인 만큼 최대한 격식을 차려야 한다.

상가집에 가면 빈소에 들어가 먼저 상주와 목례를 한 다음,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성냥이나

라이터로 향불을 붙이고 손바닥으로 바람을 일으켜 불을 끈 후 향로에 꽂는다.

간혹 입으로 불을 끄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실례이다.

 

향로에 향을 꽂은 후에는 영정을 향해 두 번 절을 해야 하는데 남자는 오른손이,

여자는 왼손이 올라가도록 해야 한다

(참고로 세배할 때는 정반대로, 남자는 왼손을,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절을 할 때 여자는 원래 의 원리에 따라 4배를 해야 하지만

최근에는 성별에 관계없이

* 재배로 바뀌고 있다.

 

고인에게 예를 다했다면 상주와 맞절을 한 번 하고

"삼가 고인을 명복을 빕니다",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라고 애도의 뜻을 전한다.

고인이 편하게 떠났거나 천수를 누렸다고 해도

"호상이라 다행입니다"  라고 말하는 것은 문상객의 자세가 아니다.



  

[재 배]


     선절()=한걸음 물러서 45도이상 깊숙이 숙이고 7초 정도 머무른다.

     앉은절남:한걸음 물러서 재배한다.


                 여:4배가 원칙이지만 재배도 무방하다.


  




[상가의 문상예절을 따르는게 예의]

상가의 종교가 자신의 종교와 달라 난처할 때가 있다.

종교마다 문상예절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때는 자신의 종교보다는 상가의 종교에 맞는 예법을 따르는 게 좋다.

예컨대 영정 앞에 향 대신 흰 국화가 놓여 있다면

꽃을 제단 위에 놓고 묵념이나 기도를 올리면 된다.


사람들이 가장 혼란스러운 것이 바로 꽃의 방향.

문상은 떠나간 고인에게 예를 다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받는 사람이 물건을 받기 편하게 드린다는

생각으로, 꽃의 줄기가 고인을 향하게 해야 한다.

 




[여러 명이 문상을 할 때, 분향은 대표 한 사람만]


문상을 여럿이 갔을 때 모든 사람이 다 분향해야 하는지,

아니면 한 사람만 해야 되는 것인지 몰라

우왕좌왕할 때가 있다.


두세 명 정도라면 한 사람 한 사람 분향해도 되지만,

그 이상의 숫자일 때는

대표 한 사람만 분향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 한국고전번역원의 조언이다.


또 여럿이 한꺼번에 고인이나 상주에게 절을 할 때

고개를 언제 들어야 할지 눈치를 보는 수가 있다.

먼저 고개를 들었다가 다른 사람이 아직 들지 않은 것을 보고

다시 고개를 숙이는 것이 그런 경우이다.


이것은 꼭 통일해야 할 필요는 없고 자연스럽게 하면 된다.

다만 상주와 맞절을 할 때는 상주보다 먼저 고개를 들어 주는 것이 좋다.





[향불은 세 개를 피우는 것이 원칙]


향은 원래 세 개를 분향하는 것이 원칙이다.

세 개의 향불은 천신과 지신,

그리고 조상에게 고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 개를 붙여도 예의에 벗어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홀수가 길한 숫자를 뜻하기 때문에 반드시 한 개나 세 개를 해야 한다.

영정 앞에서 올리는 절은, 한 번은 천신에게 잘 받아 달라는 의미,

두 번째는 지신에게 잘 떠나게 해 달라는 의미이다.


# 음양사상에 따르면 1양,  2을 뜻한다.

즉 살아 있는 사람이 이고 죽은 사람은 이기 때문에 고인에게는 절을 2번 한다.

상주와 하는 맞절은 상주의 조상들에게 상주를 잘 보살펴 달라는 뜻을 담고 있다.





조의금 봉투엔 '賻儀'


조의금은 봉투 겉에 '賻儀'(부의)로 쓰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謹弔(근조), 弔儀(조의), 香燭臺(향촉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등도 무난하다. 

조문객의 옷차림
다음글이 없습니다.